본문 바로가기

임신, 출산, 육아 관련 정보
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

정부에서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립니다.

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 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
 

 

고위험 임신으로 인해 입원치료가 필요한 임산부에게 진료비를 지원하여 건강한 출산을 돕는 제도입니다.

가구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임산부가 지원받을 수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
 
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

 

 

🎯 지원 대상

다음 19가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임산부라면 지원 가능합니다.

 

고위험 임신질환 목록
✔️ 조기진통 (O60)
✔️ 양막의 조기파열 (O42)
✔️ 분만관련 출혈 (O67, O72)
✔️ 중증 임신중독증 (O11, O14, O15)
✔️ 태반조기박리 (O45)
✔️ 전치태반 (O44, O69.4)
✔️ 절박유산 (O20.0)
✔️ 양수과다증 (O40)
✔️ 양수과소증 (O41.0)
✔️ 분만전 출혈 (O46)
✔️ 자궁경부무력증 (O34.3)
✔️ 고혈압 (O10, O13, O16)
✔️ 다태임신 (O30, O31)
✔️ 당뇨병 (O24)
✔️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(O21.1)
✔️ 신질환 (N00-N23)
✔️ 심부전 (I00-I52)
✔️ 자궁내 성장제한 (O36.5)
✔️ 자궁 및 부속기 질환 (O23.5, O34.0, O34.1, O34.4, O34.8, O41.1)

 

💡 TIP! 질병코드가 포함된 진단서가 필요하니, 병원에서 발급받아 두세요.

 

 

💰 지원 금액

  •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의 90% 지원 (1인당 최대 300만 원 한도)
  • 의료급여 수급자100% 지원
  • 병실 입원료, 환자 특식 비용은 제외

 

📅 신청 기간

출산 후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니, 출산 후 바로 준비하세요!

 

 

 

📝 신청 방법

🖥️ 온라인 신청

  •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
  • 아이마중 앱

🏢 방문 신청

  • 거주지 관할 보건소 방문 후 신청서 제출

온라인으로도 신청가능하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
 


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바로가기

📌 제출 서류

📝 필수 서류
✔️ 지원 신청서 (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포함)
✔️ 질병코드 포함 진단서
✔️ 입·퇴원 확인서
✔️ 진료비 영수증 및 진료비 세부내역서
✔️ 주민등록등본
✔️ 지원금 입금 계좌 통장 사본
✔️ 신청인 신분증

 

📌 추가 서류 (해당자만 제출)
✔️ 출생증명서 (등본으로 확인 불가능할 경우)
✔️ 사산증명서 (사산한 경우)
✔️ 대리 신청 시 위임장 및 신분증
✔️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 증명서

 

💡 꼭 알아두세요!

✅ 온라인 신청 시 공동인증서 필요
✅ 전자정부법에 따라 일부 서류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
✅ 반드시 출산 후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함

 

임신 중 건강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정부 지원 혜택을 활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고 건강한 출산을 준비하세요!